https://www.comcbt.com/xe/webhaesul/8127130
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(해설) 및 전자문제집 CBT 2024년05월19일(16226) - 웹버전(해설일부
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.(해설, 모의고사, 오답노트, 워드, 컴활,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)전자문제집 CBT란?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
www.comcbt.com
4. TCP 헤더의 플래그 비트로 옳지 않은 것은? 나
가. URG
나. UTC
다. ACK
라. RST
URG (Urgent): 긴급 포인터 필드가 유효함을 표시. |
7. SNMP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 다
가. SNMP는 주기적으로 폴링(Polling)하여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.
나. 네트워크 확장을 용이하게 해준다.
다. SNMP는 일반적으로 TCP 세션을 이용한다.
라. 폴링으로 인해 네트워크 트래픽이 많이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.
SNMP = simple network manage protocol : 네트워크 장비 관리(oversee) 시스템 |
10. OSPF 프로토콜이 최단경로 탐색에 사용하는 기본 알고리즘은? 나
가. Bellman-Ford 알고리즘
나. Dijkstra 알고리즘
다. 거리 벡터 라우팅 알고리즘
라. Floyd-Warshall 알고리즘
동적 라우팅 (1) EGB (2) IGB - 거리벡터 알고리즘 → RIP : Bellman-Ford 알고리즘 사용 - 링크상태 알고리즘 → OSPF : 각 라우터를 시작 노드로 하여 네트워크 내의 다른 모든 라우터까지의 최단 경로를 계산하는 "다익스트라" 알고리즘을 사용 |
12.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Lee 사원은 사내에서 잦은 IP 충돌로 인하여 장애신고를 많이 받고 있어 기존 IP정책을 DHCP로 변경하려고 한다. 다음 중 DHCP를 적용해야 하는 장비로 가장 적합한 것은? 다
가. 웹서버
나. Access point
다. 교육장용 PC
라. 네트워크 프린터
DHCP : IP 자동 할당 프로토콜(공인, 사설 상관없음) |
13. 다음 중에서 IPv6의 특징이 아닌 것은? 나
가. 128bit로 구성된다.
나. Broadcast를 사용한다.
다. 모바일 IP, IPsec 프로토콜 사용이 가능하다.
라. IP가 1234::12FB:3:89A0:034C처럼 표시된다.
나. IPv6 => 애유멀 만 사용 라. IPv6 IP 표기법 ① 각 그룹 내 선행하는 0은 생략 할 수 있다 ㄴ 예시 : 2001:0db8:85a3:0000:0000:8a2e:0370:7334 ▶ 2001:db8:85a3:0:0:8a2e:370:7334 ② 0으로만 이루어진 연속된 그룹은 ::으로 축약 가능 ㄴ 2001:0db8:0000:0000:0000:0000:0000:0001 은 2001:db8::1 로 축약할 수 있음 |
15. 다음 (A) 안에 들어가는 용어 중 옳은 것은? 나
가. SNMP (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)
나. SNTP (Simple Network Time Protocol)
다. SMTP (Simple Mail Transfer Protocol)
라. HTTP (HyperText Transfer Protocol)
PORT 123 : NTP (시간동기화 프로토콜, 서버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시간정보를 가짐) |
20. 100BASE-T라고도 불리는 이더넷의 고속 버전으로서 100 Mbps의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근거리통신망의 표준은? 라
가. Ethernet
나. Gigabit Ethernet
다. 10Giga Ethernet
라. Fast Ethernet
가. 다양한 속도를 포괄하는 넓은 의미의 용어 (10 Mbps ~ 10 Gbps 모두 포함) 라. 100Mbps 속도, 100BASE-T 명칭 |
25. 현장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원거리의 데이터 센터로 보내는 대신 데이터 발생 지점 주변에서 선별적으로 분석, 활용 가능한 컴퓨팅 아키텍처는? 가
가. 포그 컴퓨팅 (Fog Computing)
나. 그리드 컴퓨팅 (Grid Computing)
다. 병렬 컴퓨팅 (Parallel Computing)
라. 직렬 컴퓨팅 (Serial Computing)
포그 컴퓨팅 : 데이터가 생성되는 디바이스 가까운 곳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아키텍쳐 ㄴ 데이터를 원거리의 데이터 센터로 보내느 대신, 발생 짖머 주변에서 분석/활용 |
28. 서버 관리자 Kim 사원은 DNS 서버를 구축하고자 ′yum′ 을 이용하여 bind를 설치하였으나 설치가 되지 않았다. 이에 ′ping′를 이용하여 외부 네트워크 상태 여부를 확인하였으나 정상이었다. 이에 DNS 서버 주소가 잘못되어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′cat /etc/( A )′ 내용을 확인하고 수정하였다. ( A )에 해당하는 파일 이름은? 가
가. resolv.conf
나. networks
다. protocols
라. services
resolv.conf : 시스템이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할 때 사용하는 DNS 서버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 cat : 파일 내요을 화면에 출력하거나 여러 파일을 합치는데 사용 cat /etc/resolv.conf |
29. 서버관리자 Kim씨는 서버에 대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′/etc/check.sh′ 스크립트를 작성하였다. 해당 스크립트를 매주 월요일 오전 10시에 실행시키려고 할때, crontab 파일 설정으로 알맞은 것은? 나
가. 10 0 * * 1 /etc/check.sh
나. 0 10 * * 1 /etc/check.sh
다. 10 0 * * 0 /etc/check.sh
라. 0 10 * * 0 /etc/check.sh
cron 순서 : 분 시 일 월 요일(0 = 일) - 리눅스의 cron 명령어에는 초를 설정하지 않는다. |
34.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Active Directory를 구성하여 다음과 같은 설정을 하고자 한다. 도메인을 두 개 이상 포함하는 대부분의 조직에서 사용자가 다른 도메인에 있는 공유 리소스에 액세스할 수 있어야 하며, 이 액세스를 제어 하려면 한 도메인의 사용자를 인증하고 다른 도메인의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. 서로 다른 도메인의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인증 및 권한 부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두 도메인 간에 설정해야 하는 것은? 라
가. 도메인
나. 트리
다. 포리스트
라. 트러스트
포리스트 : 하나 이상의 도메인으로 구성, AD의 가장 큰 보안 경계 ㄴ 여러 도메인을 하나의 AD환경에서 보안 및 관리 단위로 묶고, 모든 도메인 간 자동으로 트러스트를 설정 트러스트 : 두 도메인 간의 신뢰관계(상호인증, 권한 부여) 설정 → 서로 다른 도메인 간 리소스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함. ㄴ 두 도메인 간 신뢰 관계를 설정 (하나의 도메인 사용자가 다른 도메인 리소스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함) |
35. Linux의 VI편집기를 이용하여 파일의 내용을 수정할 때, 다음 내용을 만족하는 치환명령문은? 나
가. :10,20s/old/new
나. :10,20s/old/new/g
다. :10,20r/old/new
라. :10,20r/old/new/a
VI 편집기 : 치환 명령 구조 - [범위]s/변경전/변경후/[옵션] s : [범위]대상 치환 명령 / g : 모든 '변경전' 단어를 대상 (없다면 가장 첫번째로 조회된 단어만 치환) (g = global) 가. :10,20s/old/new → 10줄 ~ 20줄 까지 가장 첫번째로 조회된 'old'를 'new'로 변경 다. :10,20r/old/new → r은 "read"를 의미 : 파일을 읽어 삽입하는 명령 라. :10,20r/old/new/a → a는 "append"를 의미, 텍스트를 추가하는 명령 |
36. 다음과 같이 파일의 원래 권한은 유지한 채로 모든 사용자들에게 쓰기 가능한 권한을 추가 부여할 때, 결과가 다른 명령어는? 라
가. chmod 666 file
나. chmod a+w file
다. chmod ugo+w file
라. chmod go=w file
u = user g = group o = others ※ 원래 권한을 유지하면서 특정 권한을 추가하려면 + 연산을 써야한다. =연산을 쓰면 기존의 권한은 초기화된다. |
38.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Kim 사원은 네트워크 연결을 구축하거나 문제를 해결할 때 패킷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가는 경로를 살펴볼 수 있도록 네트워크 명령어를 사용하고자 한다. 이 명령은 ′tracert′에서 수행하는 동일한 정보를 보여주면서 홉과 다른 세부 정보사이의 시간에 관한 정보를 출력이 끝날 때까지 저장한다. Kim 사원이 사용할 명령어는? 다
가. ping
나. nslookup
다. pathping
라. nbtstat
명령어 | 설명 | 주요 용도 |
ping |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기본적인 명령어입니다. | 특정 호스트까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응답 시간 측정. |
nslookup |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거나,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하는 명령어입니다. | DNS 서버를 쿼리하여 도메인 이름이나 IP 주소에 대한 정보를 확인. |
pathping | ping과 tracert의 결합된 기능을 갖는 명령어로, 경로별 패킷 손실률을 확인합니다. | 네트워크 경로와 각 구간의 패킷 손실을 추적하여 네트워크 문제 진단. |
nbtstat | 네트워크에서 NetBIOS 이름과 IP 주소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. | NetBIOS 정보 확인, 특히 Windows 환경에서 네트워크 이름 확인. |
netstat | 네트워크 연결 상태와 포트 사용 현황 확인, TCP/IP 연결 상태를 추적 | netstat -an : 현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 표시 |
tracert |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경로를 추적하는 명령어입니다. | 네트워크 경로 추적 및 각 구간에서의 시간 지연을 분석. |
39. Linux 시스템에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Daemon이 살아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? 라
가. daemon
나. fsck
다. men
라. ps
Linux에서 daemon 이라는 명령어는 존재하지 않는다.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몬이 있는지 확인하려면 · ps aux | grep 서비스명 · systemctl status 서비스명 위 두개의 명령어로 가능하다. |
40. 아래 지문의 내용은 Linux의 BIND 시스템 운영을 위한′/etc/named.conf′의 option 지시자의 내용이다.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? 나
가. 외부에서 오는 query에 대한 IP 대역을 모두 허용한다.
나. 유효성 검사 시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.
다. 53번 포트에 대해서 외부 접근을 허용한다.
라. slave에서 zone파일이 동기화 될때 text 형태로 변환한다.
Linux의 BIND : DNS 서버를 운영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가. allow-query { any; };로 되어 있어 모든 IP 대역의 쿼리를 허용 다. listen-on port 53 { any; };는 IPv4 모든 주소에서 53번 포트를 열겠다 라. masterfile-format text;는 마스터 파일이 텍스트 형식으로 저장 |
41. Linux 시스템에서 Apache 웹서버를 구동 시 Well-known port를 사용할 때의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? 나
가. Well-known port를 통해 Apache 웹서버를 실행할 시 관리자 권한이 필요하다.
나. 일반 사용자 계정에서 Apache 웹서버를 실행할 때, 실행 명령어 앞에 ′su′를 추가한다.
다. Well-known port를 변경할 때, 다른 서비스와 충돌되지 않는 번호를 사용하여야 한다.
라. Well-known port는 1부터 1023 까지의 숫자를 사용한다.
su 명령어는 일반 사용자를 다른 사용자(보통 root)로 전환하는데 사용 |
42. Linux Shell에서 아래 지문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명령어로 옳은 것은? 가
가. ls -al > output.txt
나. ls -al < output.txt
다. ls -al << output.txt
라. ls -al >> output.txt
> overwrite >> apppend |
45. Linux 로그인 시 다중사용자 및 GUI모드를 지원하는 runlevel로 옳은 것은? 다
가. runlevel 0
나. runlevel 3
다. runlevel 5
라. runlevel 6
Runlevel : 시스템 운영 상태를 정의하는 레벨 0 : 시스템 종료 3 : 다중사용자 + 텍스트 모드 5 : 다중 사용자 + GUI 모드 6 : 시스템 재부 |
47. 내부 통신에는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고 외부와의 통신에는 공인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은? 나
가. ARP
나. NAT
다. ICMP
라. DHCP
NAT | DHCP | |
목적 | 사설 IP ↔ 공인 IP 주소 변환 | IP 주소 자동 할당 |
동작 방식 | 라우터/방화벽이 IP 주소를 변환 |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IP 설정 정보 제공 |
사용 위치 | 보통 라우터에 설정 | 보통 DHCP 서버에 설치 (라우터 내장 포함) |
주요 역할 | 내부 → 외부 통신 시 IP 변환 | 클라이언트에게 IP, 게이트웨이, DNS 자동 전달 |
예시 상황 | 인터넷 접속 시 공유기에서 사용 | PC가 부팅할 때 자동으로 IP 받는 경우 |
49. 아래 지문에 해당하는 RAID 방식은? 나
가. Linear RAID
나. RAID 0
다. RAID 1
라. RAID 5
스트라이프 : 분산 저장, 속도 빠름 미러링 : 백업, 안전 |
50. 다음 (A) 안에 들어가는 용어 중 옳은 것은? 라
가. L2 Switch
나. IP 공유기
다. UPS
라. POE Switch
가. L2 Switch | 데이터 전송용 스위치 (전원 공급 기능 없음) |
나. IP 공유기 | NAT/라우팅 기능, 전원 공급 기능 없음 |
다. UPS | 비상 전원 공급 장치 (데이터 전송 아님) |
라. POE Switch | Power over Ethernet 지원 스위치 (전원 + 데이터 동시 전송) |
'자격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트워크관리사2급 필기 오답정리 (23.8.20) (0) | 2025.05.21 |
---|---|
네트워크관리사2급 필기 오답정리 (24.2.25) (0) | 2025.05.17 |
네관 필기 오답정리 ( 24.8.25 ~ ) (0) | 2025.05.12 |
네관 필기 오답 정리( ~ 24/11) (0) | 2025.05.06 |
정보처리기사 오답정리 (2023) (0) | 2025.02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