다음 중 상태 다이어그램에서 객체 전이의 요인이 되는 요소는?
-
① event
-
② state
-
③ message
-
④ transition
결합도(Coupling)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-
① 데이터 결합도(Data Coupling)는 두 모듈이 매개변수로 자료를 전달할 때, 자료구조 형태로 전달되어 이용될 때 데이터가 결합되어 있다고 한다.
-
② 내용 결합도(Content Coupling)는 하나의 모듈이 직접적으로 다른 모듈의 내용을 참조할 때 두 모듈은 내용적으로 결합되어 있다고 한다.
-
③ 공통 결합도(Common Coupling)는 두 모듈이 동일한 전역 데이터를 접근한다면 공통결합 되어 있다고 한다.
-
④ 결합도(Coupling)는 두 모듈간의 상호작용, 또는 의존도 장도를 나타내는 것이다.
자료결합도 - 어떤 모듈이 다른모듈을 호출하면서 "매개변수"나 “인수”로 데이터를 넘겨주고 호출받은 모듈은 처리결과를 다시 돌려주는 방식. 스탬프 결합도 - 두 모듈이 동일한 "자료구조"를 "조회"하는 경우의 결합도. |
코드 검사 수행 시 발견된 오류와 그 설명으로 틀린 것은?
-
① 데이터 오류(DA; Data Error)는 데이터 유형 정의, 변수 선언, 매개 변수 등에서 나타나는 오류이다.
-
② 기능 오류(FN; Function Error)는 서브루틴이나 블록이 수행하는 방법(How)이 잘못되어 있는 오류이다.
-
③ 성능 오류(PF; Performance Error)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며 요구되는 성능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오류이다.
-
④ 문서 오류(DC; Documentation Error)는 프로그램 구성 요소인 선언 부분, 잘못되거나 불필요한 주석 등을 의미한다.
방법(HOW)가 잘못됨 = 논리 오류 잘못된 것(WHAT)을 수행함 = 기능 오류 |
정규화 : BCNF는 강한 제3정규형이라고도 한다. |
다음의 관계 대수 문장을 SQL로 표현한 것으로 옳은 것은?
-
① SELECT name, dept FROM student HAVING year =3 ;
-
② SELECT name, dept FROM student WHERE year =3 ;ㅡ
-
③ SELECT student FROM name, dept WHERE year =3 ;
-
④ SELECT student FROM name, dept HAVING year =3 ;
σ(selection) <조건> (릴레이션 이름) = where로 해석 |
분산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-
④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소프트웨어 개발이 쉽고, 전반적인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된다.
분산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잇 설계 및 소프트웨어 개발이 어렵다. |
SAMBA · 인트라넷이나 인터넷에서 서버의 파일 및 프린터를 사용할 수 있는 프리웨어 프로그램 · 리눅스, 유닉스 등 다양한 운용 체계에 설치되는 클라이언트/서버 프로토콜 기반의 프로그램이다. ·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른 컴퓨터에 파일, 프린터, 기타 자원의 접근 요구를 할 수 있고, 다른 컴퓨터는 그 요구에 응하여 가부간 응답을 보낸다. |
모바일 기기에서 사용하는 모바일 제스처(Mobile Gesture)에 속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?
-
① Press
-
② Drag
-
③ Flow
-
④ Flick
Flick : 빠르게 스크롤 |
유스케이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-
① 사용자 측면에서의 요구사항으로,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할 내용을 기술한다.
-
②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빠르게 파악함으로써 프로젝트의 초기에 시스템의 기능적인 요구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문서화할 수 있다.
-
③ 페이지의 개략적인 레이아웃이나 UI 구성 요소 등 뼈대를 설계하는 단계이다.
-
④ 자연어로 작성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구조적으로 표현한 것으로, 일반적으로 다이어그램 형식으로 묘사된다.
③은 Wireflame에 대한 설명이다 |
알고리즘은 상위 클래스에서 정의, 하위 클래스에서 구체화하는 패턴은 템플릿 메서드이다. |
트랜잭션이 올바르게 처리되고 있는지 데이터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미들웨어는?
-
① RPC
-
② ORB
-
③ TP monitor
-
④ HUB
TP monitor(Transanction process monitor) : 기차 예약 업무 등 온라인 트랜잭션 업무에서 트랜잭션 처리를 감시하는 미들웨어 cf. RPC : remote process call |
Collision 해결 방법 · Chaining : 충돌이 발생하면, 버킷에 할당된 Linked List에 데이터를 저장 · ReHashing : 홈 주소를 다시 구함 |
내·외부 모듈 간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로만 짝지어진 것은?
-
① 인터페이스 목록, 인터페이스 명세
-
② 인터페이스 명세, 데이터 인터페이스
-
③ 인터페이스 기능, 인터페이스 목록
-
④ 인터페이스 기능, 데이터 인터페이스
자료 구성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-
① 비트(Bit)는 0 또는 1을 표시하는 2진수 한 자리이다.
-
② 니블(Nibble)은 네 개의 바이트가 모여 한 개의 니블을 구성한다.
-
③ 워드(Word)는 CPU가 처리할 수 있는 명령 단위이다.
-
④ 바이트(Byte)는 8개의 비트가 모여 1바이트를 구성한다.
니블 : 네 개의 Bit가 모여 한 개의 니블을 구성한다. 워드 : CPU가 처리할 수 있는 명령 단위 |
다음 중 DAS(Direct Attached Storage)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-
① 저장장치를 공유함으로써 여러 개의 저장장치나 백업 장비를 단일화시킬 수 있다.
-
② 서버에서 저장장치를 관리한다.
-
③ 초기 구축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다.
-
④ 확장성 및 유연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.
DAS - 서버에 연결된 저장장치이므로, 서버를 통하지 않고 파일에 직접 접근할 수 없다. - 직접 연결 방식이므로 다른 서버에서 접근할 수 없고 파일을 공유할 수 없다. - 저장 데이터가 적고 공유가 필요 없는 환경에 적합하다. |
정보 보안을 위한 접근통제 정책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-
① 임의적 접근 통제
-
② 데이터 전환 접근 통제
-
③ 강제적 접근 통제
-
④ 역할 기반 접근 통제
임의적 접근 통제 (Discretionary Access Control, DAC) 강제적 접근 통제 (Mandatory Access Control, MAC) 역할 기반 접근 통제 (Role Based Access Control, RBAC) |
IPv4와 IPv6 간 주소 전환에 사용되는 기술
듀얼스택, 터널링, 헤더 변환 |
C언어 입·출력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 헤더 파일을 호출하는 코드
헤더 파일을 호출 = #include 입·출력에 사용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헤더 파일 = stdio.h |
시간 구역성(Tempral Locality)
· 프로세스가 실행되면서 하나의 페이지를 일정 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액세스하는 현상 · loop, stack, 부프로그램, counting, totaling ※ 배열순회 : 공간 구역성 |
|
하둡(Hadoop)
|
스쿱(Sqoop)
|
기능
|
분산 파일 시스템
|
하둡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간의 데이터 전송
|
사용 사례
|
대용량 데이터 처리
|
MySQL, Oracle 등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
데이터를 하둡으로 가져오기 |
ARIA : 국정원과 산학연협회가 개발한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 |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보처리기사 오답정리 (2024) (0) | 2025.02.22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