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PRING

좋은 객체지향 프로그램과 스프링

silver-w 2024. 12. 16. 22:51

스프링 : 여러가지 기술의 모음


※ spring.io/projects 참고

스프링 부트 : 아래 기술들을 편리하게 사용하게 해주는 것
스프링 프레임워크 
스프링 데이터 : 데이터베이스 CRUD를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(JPA)
스프링 세션 : 세션 기능을 편리하게
스프링 시큐리티 : 보안
스프링 Rest Docs : API문서와 테스트를 편하게 엮어서 문서화
스프링 Batch
스프링 Cloud

 

스프링 프레임 워크 

핵심 기술 : 스프링 DI 컨테이너, AOP, 이벤트, 기타

스프링 부트 : 스프링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, 최근에는 기본으로 사용

 ㄴ 톰캣 같은 웹 서버를 내장

 ㄴ 손쉬운 빌드 구성을 위한 starter 종속성 제공 : 라이브러리를 묶어서 종속 시킴 (하나만 땡기면 종속된 라이브러리 의존), 외부 라이브러리 버전에 대해서 같이 의존

 ㄴ 관례에 의한 간결한 설정

 

스프링의 핵심

 스프링은 자바 언어 기반의 프레임 워크이고 자바언어의 가장 큰 특징은 객체 지향이다. 

스프링은 좋은 객체 지향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레임워크

 

좋은 객체지향 프로그램이란?


 1) 컴퓨터 프로그램을 명령어의 목록으로 보는 것에 벗어나 "객체"들의 모임으로 파악하는 것 각각의 객체는 메시지를 주고받고, 데이터를 처리한다

 2) 프로그램을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하게 만들기 때문에 대규모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이 사용된다.

※ 컴포넌트를 쉽고 유연하게 변경하면서 개발할 수 있는 방법 (다형성)

역할과 구현을 분리 (자동차 : 소나타 = 역할 : 구현)
 ㄴ 소나타 자리에 k3를 넣어도 자동차라는 역할은 동일하다. (유연, 변경에 용이, 확장 가능))
 ㄴ 운전을 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소나타를 운전하던, k3를 운전하던 '자동차'를 운전하는 건 같다.(클라이언트에 영향을 주지 않음)
 ㄴ 실세계의 역할을 구현이라는 편리한 컨셉을 '다형성'을 통해 객체 세상으로 가져온다

 ㄴ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 인스턴스를 실행 시점에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.
 ㄴ 다형성의 본질을 이해하려면 협력이라는 객체 사이의 관계에서 시작
 ㄴ 클라이언트를 변경하지 않고, 서버의 구현 기능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.

 

스프링은 다형성을 극대화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. 

 1) IoC (제어의 역전) 

 2) DI (의존관계 주입)

 

SOLID


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 

  1. SRP
    -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
    - 하나의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한다.
    - 판단의 기준 : "변경" 변경이 있을 때 파급 효과가 적으면 단일 책임 원칙을 잘 따른 것
  2. OCP
    - open/closed principle
    -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새로운 클래스를 하나 만들어서 새로운 기능을 구현(다형성 활용)
    - '자동차' 인터페이스에 테슬라가 나와도 기존걸 수정치 않아도 '테슬라' 클래스만 하나 더 만들어서 구현하면 된다.
    - InterfaceCar car = new Tesla(); 

    < 문제 > : 다형성을 사용했지만, OCP 원칙을 지킬 수 없음
    //Service 클라이언트에서
    1) 메모리가 아직 정해지지 않았을때 (前)
    Repository m = new MemoryRepositoey();
    2) 메모리가 정해졌을 때 (後)
    Repository m = new JdbcRepository();
    => 객체를 생성하고, 연관관계를 맺어주는 별도의 조립, 설정자가 필요
  3. LSP
    -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
    - 자동차 엑셀을 밟으면 전진이 되야한다 = 프로그램의 객체는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깨뜨리지 말아야한다.
    - 다형성에서 하위 클래스는 인터페이스 규약을 지켜야 한다.
  4. ISP
    -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
    - 특정 클라이언트를 위한 인터페이스 여러 개가 범용 인터페이스 하나보다 낫다.
    - 자동차 인터페이스를 기능을 적당히 나누어 운전 / 정비 인터페이스를 각각 두는 것
    - 인터페이스가 명확해지고, 대체 가능성을 높아진다.
  5. DIP
    -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
    - 추상화에 의존해야하고, 구체화에 의존하면 안된다. 
    - 기능에 의존하지 말고, 역할에 의존
    //Service 클라이언트에서
    Repository m = new JdbcRepository();
    // Repository 라는 인터페이스와 JdbcRepostitory 구현체 둘다 의존하여 DIP 위반
     

정리를 하자면, 다형성 만으로 OCP, DIP를 지킬 수 없다. 

 

스프링과 객체지향


"스프링은 다음 기술로 다형성 + OCP,DIP를 가능하게 해준다"

 - DI 

 - DI 컨테이너 제공

 

 

 

출처 : https://inf.run/kCYMv

 

스프링 핵심 원리 - 기본편 강의 | 김영한 - 인프런

김영한 | 스프링 입문자가 예제를 만들어가면서 스프링의 핵심 원리를 이해하고, 스프링 기본기를 확실히 다질 수 있습니다., 스프링 핵심 원리를 이해하고, 성장하는 백엔드 개발자가 되어보

www.inflearn.com